My thoughts on the book The High Velocity Edge (English / 한국어)
Paul Hussey | 2022-06-30영어 이어서 한국어
I recently finished reading The High Velocity Edge by Steven Spear. The book is all about how to build and manage work processes in such a way that your company is able to outpace the competition and maintain a competitive advantage that cannot be overcome. These ideas are tremendously important, and the glowing praise in the foreword written by none other than Clayton Christensen is testament to that.
The ideas in the book can be summarized something like this: 1) The processes for doing work in a company need to be initially set up as best possible using all the knowledge the company has at the time. 2) These processes must have built-in tests and checks that enable the people actually performing work using the processes to identify when something is not working as expected or needs to be improved. 3) When someone responsible for doing a piece of work encounters a problem, including even minor issues and near-misses, the people closest to that work isolate the problem, develop solutions, and improve the process themselves. 4) The learnings from fixing the process in that one instance are then documented and spread throughout the entire company.
What this really boils down to is the application of the scientific method to continuously discover better ways to get work done. It's like the famous paradigm shift mechanism in Thomas Kuhn's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The best known model is accepted until something is discovered that breaks that model. Then a new model is developed that accounts for the new information, and the new model is adopted widely once it's proven to be better.
Managing work processes in this way ensures that a company is always improving, always staying a step ahead of the competition. This is very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bureaucratic style of establishing processes in a top-down manner that are then expected to be followed without question. In bureaucratic style companies employees just look for workarounds when things don't go according to plan, problems don't get fixed (at least not until there is a major crisis), and continuous learning doesn't take place.
Here are a couple of quotes I really like from this book:
"Since you cannot plan perfection, you must pursue perfection."
"Problems are not a never-ending plague to be endured, but a never-ending guide to improvement."
Although this book is primarily about how to manage processes to achieve better business outcomes, I think there are also very important advantages in talent attraction and retention for companies that choose to adopt the methods introduced in this book. These methods make front line teams the owners of the processes they use in their work every day, and they are constantly looking for ways to improve them. Over time, the processes become best-in-class because they've been built on the learnings of the entire company over many years. Empowerment, continuous learning, best-in-class work methods... this all adds up to a value proposition that will attract the best talent available and keep them engaged over the long-term. Moreover, the culture of learning and knowledge sharing found in this kind of environment makes any new hire far more likely to ramp up quickly and succeed.
This book has taught me the value of great processes, and the even greater value of constantly improving them. I'm really looking forward to applying these ideas in processes I have influence over in the future to build the kind of company culture that top talent will all want to be a part of.
If you have any thoughts on this to share please feel free to leave a comment below, and you can find more of my recommended talent management and recruiting related books, podcasts, and people to follow here.
최근에 Steven Spear의 The High Velocity Edge를 읽었습니다. 이 책은 회사가 경쟁에서 앞서고 극복할 수 없는 경쟁 우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업무 수행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아이디어들은 매우 중요하며, Clayton Christensen이 쓴 서문에서 찬사를 보내는 것이 그 증거입니다.
이 책의 주 아이디어들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1) 새로운 프로세스를 설계할 때 그 당시까지 회사가 쌓인 모든 지식을 이용하여 그 프로세스를 가능한 잘 설정해야 합니다. 2) 해당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실제로 업무를 수행하는 담당자가 뭔가 예상대로 작동하지 않거나 개선이 필요한 것을 즉시 발견할 수 있도록 프로세스에다가 테스트 및 확인 기능이 정비되어 있어야 합니다. 3) 업무 담당자가 문제를 발견하면 해당 작업에 가장 가까운 직원들이 그 문제를 빠르게 격리하고 솔루션을 개발하며 해당 프로세스를 스스로 개선합니다. 4) 한 팀에서 어떤 프로세스를 개선하면 얻은 know-how를 자세히 문서화하고 그 지식을 회사 전체적으로 퍼뜨립니다.
이는 측, 더 나은 업무 수행 방법을 지속적으로 발견하기 위해 과학적 방법을 적용하는 것입니다. Thomas Kuhn의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에서 나타나는 유명한 패러다임 전환 메커니즘과 같습니다. 현실을 제일 잘 설명하는 모델은 계속 유지하는 것인데 그 모델을 깨는 것이 생기면 그 새로운 사실을 포함하는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여 입증하게되면 새 모델이 널리 채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세스를 관리하면 회사가 항상 개선되고 경쟁에서 한 발 앞서 나갈 수 있습니다. 이는 top-down 방식으로 프로세스를 수립하고 무조건 준수하는 전통적인 관료주의 스타일과는 매우 다릅니다. 관료주의적 스타일의 회사에서 뭔가 계획대로 되지 않을 때 직원들이 workaround만 찾으며 문제들은 큰 위기가 오지 않는 한 해결되지 않게 되고 지속적인 learning도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아래는 이 책에서 나오는 제가 특별히 좋아하는 몇 가지 인용문입니다.
"완벽은 계획할 수 없으니 완벽을 추구해야 한다."
"문제는 견뎌야만 하는 끝없는 역병이 아니라 개선을 위한 끝없는 가이드다."
이 책은 주로 더 나은 비즈니스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지만, 이 책에서 소개한 방법을 채택하기로 한 기업의 인재 attraction 및 retention에도 매우 중요한 이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일선 팀은 매일 업무하면서 사용하는 프로세스의 소유자가 되며 지속적으로 프로세스 개선을 추구합니다. 그리고, 이 프로세스들은 수년에 걸친 회사 전체의 학습을 기반으로 구축되기 때문에 최고의 수준이 됩니다. 권한 부여, 지속적인 학습, 최고의 수준 업무 방법... 이 모든 것이 최고의 인재를 유치하고 장기적으로 engagement를 유지할 수 있는 튼튼한 value proposition입니다. 더욱더, 이러한 환경에서 학습 및 지식 공유 문화가 잘 되어 있어서 모든 신입 사원들이 더 빠르게 적응하고 성공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을 통해 좋은 프로세스의 가치와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의 더 큰 가치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 제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프로세스에 이 책에서 소개하는 아이디어들을 적용하고 최고의 인재들이 꼭 join하고 싶은 기업 문화를 만들고 싶습니다.
이에 대해 공유하고 싶은 생각이 있으면 아래서 comment를 남겨주시고, 제가 추천하고 싶은 더 많는 인재 관리 및 채용 관련 책, 팟캐스트 및 팔로우할 사람을 여기서 찾을 수 있습니다.